"신체나이 5살 늙었다?"...치매는 빠르게 온다
생물학적 나이, 혈관성 치매·뇌졸중에 영향
이와 관련해 최근 한 해외 연구는 치매 발병 위험도가 일반적으로 통용하는 '물리적 나이'뿐 아니라 '신체 나이'라고도 할 수 있는 '생물학적 나이'의 영향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.
이는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사라 헤그 교수팀이 의학 학술지 '신경학, 신경외과 및 정신의학 저널'에 발표한 연구 내용이다. 연구팀은 영국 정부의 데이터베이스인 'UK바이오뱅크'를 활용해 37~73세 영국인 32만 5870명의 건강정보를 9년간 추적 분석했다.
평균 나이 56.4세였던 분석 대상자들은 없었고 2006~2010년 신경학적 질환 이력이 없었다. 이후 추적 조사 동안 1397명(0.4%)은 치매를, 2515명(0.8%)은 허혈성 뇌졸중을, 679명(0.2%)은 파킨슨병을, 203명(0.1%)은 운동신경증(MND)을 진단받았다. 운동신경증이란 운동 신경 세포와 근육이 서서히 약화하는 질병이다.
이어서 연구팀은 이들 대상자의 혈중지질, 혈당, 혈압, 폐 기능, 체질량지수(BMI) 등 18가지 생체지표로 생물학적 나이를 측정해 이들 질환과의 인과성을 분석했다. 이 결과, 생물학적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5년 이상 더 많으면 알츠하이머병이나 혈관성 치매를 포함한 모든 원인의 치매가 발병할 위험한 19%나 증가했다.
특히 혈관성 치매와 허혈성 뇌졸중 위험이 각각 41%와 39%나 높아져서 심혈관계 이상이 원인인 치매와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. 알츠하이머 치매 와 운동신경이 퇴행하는 질환과는 약한 연관성을 보였으나, 파킨슨병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.
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생물학적 나이와 치매 발병 사이의 절대적인 인과성을 완전히 입증하진 못하지만, 신체의 노화 과정을 늦추면 질환 발병을 줄이거나 늦출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.
헤그 교수는 "생물학적 나이 측정에 사용한 생체 지표 중 일부는 생활방식과 약물을 통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"면서 "이를 통해 생물학적 나이를 낮추면 질병 위험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것"이라고 말했다.
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(https://doi.org/10.1136/jnnp-2023-331917)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