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2030년 매출 10대 의약품에 GLP-1 비만약 5개 포진"
위고비·젭바운드 등 연간 180조원 판매 전망

12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이벨류에이트에 따르면 노보노디스크의 '오젬픽'과 '위고비', '카그리세마', 일라이릴리의 '마운자로', '젭바운드' 등 5개 품목이 2030년 10대 의약품 리스트에 안착할 것으로 예상됐다.
이들 5개 품목의 2030년 매출 추정치는 1000억달러(약 137조원)를 넘을 것으로 분석됐다. 이들 약품은 모두 GLP-1(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-1) 유사체 작용제 방식의 비만치료제다.
카그리세마는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하고 있는 약물이다. 위고비의 성분인 '세마글루타이드'와 포만감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아밀린 유사체 ‘페트렐린타이드’를 결합해 개발 중인데, 임상 3상 단계에 있다.
이벨류에이트는 “미국 전체 성인의 50%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이 비만인으로 분류된다”며 “비만치료제는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장이나 간질환, 신장질환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1000억 달러보다 더 높은 매출을 기록할 수도 있다”고 설명했다.

이벨류에이트는 비만치료제의 성장이 각 회사 뿐만 아니라 전세계 처방약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. 멜라니 이벨류에이트 연구원은 "위고비, 오젬픽 등 비만·당뇨병 치료제와 듀피젠트, '스카이리지' 등이 향후 5년간 전세계 처방약 판매 연간 성장률을 7.7%까지 높이는데 기여할 것”이라며 “이는 지난해 전망치보다 2%포인트 웃도는 수준”이라고 밝혔다.
이어 “위고비와 젭바운드 매출은 지난해 50억달러(약 6조8000억원) 미만인데, 이는 2030년 GLP-1 유사제 작용제 방식 비만약 시장 추정치인 1300억달러(약 179조원) 중 일부에 불과하다”며 “점유율 경쟁은 아직 시작되지도 않았다”고 말했다.
지난해 위고비의 글로벌 매출액은 약 45억달러(약 6조원)를 기록했으며, 젭바운드는 4분기에 출시돼 1억7600만달러(약 2400억원) 매출을 올렸다.
좋은정보 입니다.감사합니다.